2025년 롤렉스 데이트저스트 41mm 리세일 분석
I. 요약
2022년부터 2025년까지의 국내외 리세일 데이터 분석 결과, 롤렉스 데이트저스트 41mm 모델 중 플루티드 베젤과 쥬빌리 브레이슬릿 조합을 갖춘 제품들은 대부분 리테일 가격을 크게 상회하는 리세일 프리미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
특히 민트 그린, 초콜릿, 샴페인 등 특정 다이얼 조합과 다이아몬드 세팅 여부는 리세일 가치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며, 시장 수요와 희소성의 교차점에서 가장 강력한 가격 상승을 이끌어내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.
II. 분석 대상 및 방법론
🎯 분석 대상
- 모델명: Rolex Datejust 41mm
- 구성: 플루티드 베젤 (Gold), 쥬빌리 브레이슬릿
- 소재 조합:
- 화이트 롤레조 (Ref. 126334)
- 옐로우 롤레조 (Ref. 126333)
- 에버로즈 롤레조 (Ref. 126331)
📊 분석 방법
- 리테일가 기준: 롤렉스 코리아 및 유통 추정가
- 리세일가 출처: 하이시간, 바이버, 크로노24
- 분석 조건:
- 미착용 신품 (Unworn)
- 풀 세트 (박스, 보증서 포함)
- 2022~2025년 제조 연식
단순 3년 이내의 매물의 평균 가격 조사이기 때문에
오래된 연식이 많거나 , 최신 연식이 많은 경우
평균가가 왜곡되어 실제 체감하는 가격과 차이가 날 수 있음.
전체 수량을 다 조사할 수는 없었기에 , 일부 놓친 매물이 있는 경우 오차 발생 가능
대략적인 평균 시세 파악을 하는 수준으로 봐야 함
III. 화이트 롤레조 (Ref. 126334) – 민트 그린과 블루 다이얼의 투톱
다이얼 컬러 | 리테일가 | 리세일가 (매물평균) | 수익률 |
민트 그린 | ₩16,020,000 | ₩22,621,917 | +41.2% |
브라이트 블루 | ₩16,020,000 | ₩21,240,000 | +32.6% |
실버 | ₩16,020,000 | ₩18,147,667 | +13.3% |
블랙 (다이아) | ₩18,920,000 | ₩21,201,250 | +12.6% |
블루 (다이아) | ₩18,920,000 | ₩23,424,657 | +23.8% |
IV. 옐로우 롤레조 (Ref. 126333) – 전통과 클래식의 균형
다이얼 컬러 | 리테일가 | 리세일가 (매물 평균) | 수익률 |
샴페인 | ₩23,200,000 | ₩26,611,950 | +14.7% |
윔블던 | ₩23,200,000 | ₩22,998,300 | -0.9% |
블랙 | ₩23,200,000 | ₩24,195,753 | +4.3% |
슬레이트 | ₩23,200,000 | ₩25,119,125 | +8.3% |
샴페인 (다이아) | ₩26,100,000 | ₩28,119,000 | +7.7% |
블랙 (다이아) | ₩26,100,000 | ₩29,657,453 | +13.6% |
V. 에버로즈 롤레조 (Ref. 126331) – 가장 고급스럽고 강력한 리세일 라인
다이얼 컬러 | 리테일가 | 리세일가 (매물평균) | 수익률 |
초콜릿 (다이아) | ₩26,700,000 | ₩28,166,250 | +5.5% |
선더스트 (다이아) | ₩26,700,000 | ₩25,710,417 | -3.7% |
슬레이트 | ₩23,800,000 | ₩26,253,375 | +10.3% |
윔블던 | ₩23,800,000 | ₩22,317,883 | -6.2% |
✅ 리테일가에 구입할 수 있다면 ‘대부분 수익’ 구조
공식 부티크 또는 리테일 채널을 통한 구입은 리세일 시장에서 가장 확실한 프리미엄 확보 전략입니다.
✅ 희귀 다이얼 조합에 집중
민트 그린, 초콜릿, 샴페인과 같은 다이얼은 공급량이 적고 수요가 꾸준한 컬러입니다. 특히 민트 그린은 2025년 기준 가장 높은 수익률을 보이는 컬러입니다.
✅ 풀 세트 & 미착용 조건 유지
리세일 프리미엄을 극대화하려면 ‘미착용’ 상태와 ‘풀 세트’ 보존이 필수입니다. 태그, 보증서, 박스 포함 여부가 실제 매도 시 큰 차이를 만듭니다.
VIII. 결론
롤렉스 데이트저스트 41mm의 플루티드 베젤 & 쥬빌리 브레이슬릿 모델은 단순한 사치품이 아닌 자산화 가능한 실물 투자 수단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.
특정 다이얼과 소재 조합은 매입 시점에서 이미 수익률이 내재되어 있으며, 글로벌 브랜드 가치, 공급 제약, 사용자 선호도라는 세 가지 요소가 이러한 프리미엄을 지속적으로 견인하고 있습니다.